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38

사교육비가 높다고 문제일까?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것이다. 한 국가나 민족의 미래는 교육에 있다. 미래를 위해서는 다른 모든 것은 포기해도 교육만은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공교육은 정부에서 하는 교육이고 사교육은 민간에서 하는 교육이다. 공교육은 공무원과 같이 시장의 원리가 적용되지 않고 민간에서 하는 교육은 시장의 적용되어 운영된다. 그래서, 교육의 경쟁력은 사교육이 훨씬 높다. 사교육비가 높다면 사람들이 교육에 많은 돈과 시간을 쓴다는 의미이고 교육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면 국가적이나 개인적인 차원에서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문제는 대부분의 사교육이 초중고등학교 교육이고 입시교육에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초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것들이 지금의 사교육비가 투입될 만큼의 양이나 가치가 없다. 오히려 .. 2017. 7. 1.
북한은 어떤 사회일까? TV나 유튜브에 탈북자들이 나오는 프로그램이 많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북한이 어떤 사회인지 대충은 알 것 같다. 북한은 우리나라의 70년대와 비슷한 면이 많다. 고난의 행군 이후 배급이 중단되어 자본주의 사회와 비슷하게 스스로 장사를 하며 먹고 산다. 가난한 자본주의 국가와 비슷하고 빈부격차도 심하다. 정부 권력 기관의 비리가 매우 심하다. 웬만한 범죄도 돈으로 해결된다. 김부자에 대한 신격화와 그에 대한 단속이 심하다. 자유를 제한하는 금지된 것들이 엄청나게 많고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권력기관의 공무원이 있다. 정부기관의 상층부는 엄청난 권력투쟁이 있고 권력투쟁의 패배는 죽음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정부기관은 일보다 자신의 생존에만 신경 쓰다 보니 조직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2017. 7. 1.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20%로 확대한다는 정책 정부가 신재생 에너지 발전 비율을 2030년까지 20%로 확대한다고 한다. 신재생 에너지의 대표적인 발전 방식은 태양광과 풍력이다. 풍력은 우리나라와 같이 땅이 좁고 바람이 많이 불지 않는 지역에 적합하지 않다. 태양광 발전 또한 일조량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 지역에 적합하지 않다. 현재 시점에서 경제적인 면만 본다면 신재생 에너지에 절대 투자하지 말아야 한다. 그 말이 의미하는 것은 정부가 추진하는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정책이 경제성이 없는 곳에 세금을 투자하는 것이다. 지금 신재생 에너지에 투자하는 것은 모두 몇 십년 후의 미래를 위한 투자이지 현재나 가까운 미래를 위한 투자가 아니다. 태양광 발전의 가장 큰 문제는 태양광 패널의 낮은 효율이다. 현재 양산하는 일반적인 태양광 패널은 15% 정도이고 가.. 2017. 6. 18.
민주주의에 대한 자부심 민주주의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이지만 인류 역사의 대부분의 기간은 왕에 의한 군주주의가 지배했다. 현대의 민주주의를 이루기 위해서 많은 나라에서 수 많은 투쟁과 희생이 있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사회 체계를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도 일제 시대 이후 민주주의를 시작했지만 엄청난 어려움이 있었고 수 많은 사람들의 희생으로 민주주의가 정착되는데 50년 이상이 걸렸다. 아직 민주주의를 하지 않는 다른 나라에 갈 때면 민주주의라는 체계를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도입한 우리나라에 대한 자부심이 생긴다. 다른 나라보다 경제적으로 더 잘 사는 것에서 느끼는 자부심보다 더 크다. 그 나라에서도 민주주의를 도입하려고 한다면 오랜 기간 엄청난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하지만, 민주주의가 인류의 최종 사회 체계는.. 2017. 5. 28.
사회의 진화 사회는 진화한다. 사회가 진화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사회 규칙의 진화 - 법과 규칙이 변화한다. 2. 개인의 사고 방식의 진화 -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인이 생각하는 방식이 변화한다. 교육을 통해 사고 방식이 전수 된다. 3. 개인의 생물학적 진화 - 환경에 적합한 생물학적 특성을 가진 개인의 비중이 사회에서 증가한다. 좌파와 우파는 후천적인 요인도 있지만 생물학적인 선천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좌파와 우파 어느 것도 옳고 그름은 없다. 단지 환경에 따라 최적의 선택은 변화한다. 사회에 속한 개인들이 현명하다면 환경에 맞는 전략을 선택하여 생존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멸종할 것이다. 과거 수 많은 종이 생겨나고 진화했지만 또한 많은 종이 멸종했다. 멸종한 많은 종은 환경에 제대로 대응하지.. 2017. 5. 21.
노동의 가치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사회에서 사람은 노동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돈을 받는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 대가는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 결정된다. 노동의 수요가 많고 공급이 적으면 임금이 높고 공급이 많고 수요가 적으면 임금이 낮다. 아주 높은 기술을 가진 사람도 그 기술에 대한 수요가 없다면 취업을 할 수 없다. 엔지니어가 갖는 흔한 실수가 기술에 대한 지나친 집착이다. 기술은 사회에서 수요가 있을 때 가치가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임금이 결정되지만 정치가 개입하면 그 원리가 깨질 수 있다. 정치적 힘이 크면 더 많은 임금을 많을 수 있다. 강성 노조, 정치가, 공무원 등은 정치적 힘을 가지고 있고 수요와 공급 원리를 무시하고 더 많은 임금을 받는다. 또는, 기업 내에서 정치적으로 힘을 가지.. 2017. 5. 20.
인류의 진화 인류는 유인원에서 진화하였다. 유인원과 인류의 중간 형태인 오스트랄로피피테쿠스는 500만 년 전에서 50만 년 전까지 살았다. 이후 호모 에렉투스, 네안데르탈인 등이 있다. 현생 인류는 20만년 전에 출현한 호모 사피엔스이다. 이러한 구분은 DNA를 기준으로 한다. 즉, 호모 사피엔스와 현재의 인류의 DNA는 동일하고, 20만년 전의 호모 사피엔스가 현재 시대로 타임머신을 타고 온다면 현재 인류와 완전히 동일하다. 구석기 시대에 살았던 인류는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뿐만 아니라 오스트랄로피테쿠스도 포함된다. 즉, 오스트랄로피테쿠스도 구석기를 만들고 사용했다. 신석기 시대는 지역에 따라 10,000년전에서 15,000년전에 시작되었고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살았던 시기이다. 청동기 시대는 한반도에서.. 2017. 5. 19.
정치가가 존재하는 이유 정치가는 대중의 지지를 받는 사람이다. 사람들은 특정 정치가를 지지한다. 인간은 어떤 누군가를 지지하고 따르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원숭이나 개미, 벌의 사회와 같이 누군가를 따르는 것은 본능이다. 이러한 본능이 없다면 인간은 사회를 구성할 수 없었을 것이다. 연예인과 팬의 관계도 동일한 본능이 작용하고 종교도 마찬가지 이다. 그 본능의 강도는 사람들마다 다르다. 하지만,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사회는 사람이 아니라 시스템을 따르도록 유도한다. 법치국가에서는 사람보다 법과 규칙이 우선이고 그렇게 되도록 진화 되고 있다. 대중은 법과 규칙을 수정 또는 새로 만들거나 법과 규칙을 집행하는 사람을 선택한다. 2017. 5. 6.
산업혁명과 산업화 산업혁명 (Industrial Revolution)은 18세기 중반 영국에서 시작하였다. 산업혁명은 과거 농업 기반의 사회에서 공업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농업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살았다면 공업 사회에서는 회사에 출근하여 일을 하고 임금을 받으며 살아가는 것이다. 오늘 날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산업화의 결과로 생긴 것이다. 50~60년대 산업화 이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농사를 지었지만 오늘 날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회사를 다닌다. 이것이 산업화의 결과이다. 산업화는 생산량을 급속하게 증가 시킬 수 있고, 이러한 생산물은 개인에게 소비되어 개인의 실제 소득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산업화로 일이 분업화함에 따라 일의 효율이 증가하였고 전문화되었다. 오늘날 존재하는 .. 2017. 5.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