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78

다이오드의 종류와 특징 많이 사용하는 다이오드는 범용 다이오드(General Purpose Diode), 쇼트키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 3 종류가 있다. 쇼트키 다이오드는 Forward 전압이 낮고 Recovery 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최대 Reverse 전압이 낮다. Recovery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고주파 회로에 많이 사용된다. 제너 다이오도는 일정한 Reverse Breakdown 전압 (제너 전압)을 가진다. 2017. 8. 22.
MOSFET을 다이오드 대신 사용하는 방법 역결선 보호를 위해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하지만, 대전류 회로에서는 다이오드의 Forward 전압에 의해 전력 손실이 크고 그에 따라 발열도 심해진다. Schottky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Forward 전압이 작지만 그래도 전력 손실은 많이 발생한다. 대전류 회로에서 MOSFET을 다음 회로와 같이 사용하면 전력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Forward 일 때는 P-channel MOSFET의 Source-Gate에 걸리는 전압이 플러스이기 때문에 MOSFET이 도통하여 전류가 흐른다. Reverse 일 때는 Source-Gate에 걸리는 전압이 마이너스이고 MOSFET이 차단된다. MOSFET을 사용하면 Drain-Source의 Turn-on 저항에 의해 소비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이오드에 비해 훨.. 2017. 8. 22.
갤럭시 A3 2017과 아이폰 7 비교 갤럭시 A3는 삼성에서 나오는 스마트폰 중 가장 작은 폰이다. 갤럭시 A3 2017과 아이폰 A7은 크기와 무게가 거의 같고 스펙도 비슷하다. 크기갤럭시 A3 : 66 x 135 x 7.9mm아이폰 7 : 67 x 138 x7.1mm 무게갤럭시 A3 : 135g아이폰 7 : 138g 디스플레이갤럭시 A3 : 4.7인치 AMOLED, 1280x720아이폰 7 : 4.7인치 LCD, 1334x750 메모리갤럭시 A3 : 2GB SDRAM, 16GB Flash (micro SD 카드로 256GB 지원)아이폰 7 : 2GB SDRAM, 32/128/256GB Flash 카메라갤럭시 A3 : 전면 800만, 후면 1,300만아이폰 7 : 전면 700만, 후면 1,200만 배터리갤럭시 A3 : 2350mAh아이폰 .. 2017. 8. 22.
킬러 로봇 (Killer Robot) 군사용 로봇 (Military Robot)은 2차 대전 때부터 시작하여 계속해서 발전해 오고 있다. 2차 대전에 원격으로 제어하는 탱크나 폭파 차량을 사용하였다. 최근에는 정찰, 폭격 등의 작전을 하는 드론이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군사용 로봇은 주로 원격 제어를 통해 인간의 통제를 받아 왔다. 하지만, 인공 지능 기술의 발달로 로봇에 자율성이 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자율성을 가진 군사용 로봇을 킬러 로봇이라고 한다. 예들 들면 자율성을 가진 드론은 기지에서 이륙하여 적지로 이동한 후 인간의 개입 없이 스스로 정찰하고 판단하여 폭탄으로 공격하고 다시 돌아온다. 인공 지능으로 공격 대상의 판단과 공격 시간을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기 때문에 만약에 인공 지능에 오류가 있다면 아군과 적군에 상관없이 .. 2017. 8. 22.
SMD 부품을 쉽게 떼어 내는 법 SOIC 부품은 인두기 1개나 2개를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떼어 낼 수 있다. 하지만, QFP 부품은 인두기 2개로 떼어 내기가 매우 어렵다. 시간도 많이 걸리고 더 큰 문제는 떼어내다가 PCB 패턴이 떨어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QFP 부품을 추가적인 장비 없이 쉽게 떼어 내는 방법은 일반 열풍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부품 주위를 켑톤 테이프로 막고 열풍기 온도를 300~400도 정도로 3~5분 정도 에어를 불면 부품이 떨어진다. 시간은 조금 걸리고 번거롭지만 별다른 손상 없이 깨끗하게 QFP 부품을 떼어 낼 수 있다. 열풍기 온도가 최대 400도까지 올라 가는지 확인해야 한다. ☞ 납 제거 방법 2017. 8. 22.
단락회로에서 전압이 0인데 전류가 흐르는 이유 회로이론 책에 단락회로에서 전압이 0이고 전류가 있다고 나온다. 이 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회로가 단락 되었다면 다음 그림과 같다. 위 회로에 옴의 법칙을 적용한다면 I = V / 0 이 된다. 이 때 전원 단자 간의 전압은 얼마일까? V일까 0일까? 위와 같은 회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회로이론에서 이러한 회로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1 나누기 0과 같은 문제이다. 1 나누기 0은 수학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다. (무한대라고 생각하는 것은 극한일 때이고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이지 0으로 나누는 것은 수학의 정의에 없다.) 하지만, 실제 배터리의 양단에 전선을 연결하여 단락 시킬 수 있다. 이 때는 다음 그림과 같이 배터리 내부 저항이 있다. 내부 저항이 없는 전원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 2017. 8. 22.
AP (Application Processor ) 란 무엇일까? AP (Application Processor)의 정의는 불명확하다. 애플이 아이폰용 프로세서를 만들면서 만든 이름인 것 같다.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전통적으로 프로세서를 MPU (Microprocessor)와 MCU (Microcontroller)로 구분한다. MPU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고 MCU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주변장치와 메모리를 결합한 IC이다. MCU를 SoC (Silicon on Chip)라고 볼 수도 있다. MPU와 MCU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던 용어이고 SoC는 최근에 나온 개념이다. AP를 기존의 관점에서 보면 MCU 또는 SoC이다. 자료들을 보면 AP를 Mobile Application Processor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즉, AP는 스마트폰에 특화된 MCU 또는 SoC라.. 2017. 8. 21.
폰의 키패드 전화의 키패드에는 ABC, DEF와 같은 글자가 적혀있다.20세기 중반 미국의 전화번호는 2~9까지 숫자를 사용한 두자리 숫자로 시작하였다. 0은 운영자 통화를 위해 사용되고 1은 장거리 전화를 위해 사용되었다. 즉, 일반 전화번호는 AD1-5678 (231-5678)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전화기 키패드 숫자 밑에 있는 알파벳 문자를 사용하여 전화번호를 쉽게 기억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GOOD-OKAY는 전화번호 4663-6529를 나타낸다. 휴대폰이 나오면서 키패드 글자를 문자 메세지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2017. 8. 21.
자동차 마력과 토크의 속도에 따른 차이 마력은 파워(Power)이고 토크는 힘(Force)과 같은 것이다. 시속 10km로 달리는 자동차를 1초 동안 시속 20km로 가속시키기 위해서 1의 토크와 1의 파워가 필요하다고 가정하자. 이 때 시속 100km로 달리는 자동차를 1초 동안 시속 110km로 가속시키기 위해서는 동일한 1의 토크가 필요하다. 하지만 필요한 파워는 7이다. 속도에 따른 운동 에너지는 다음 식과 같다. 위 식과 같이 속도가 증가하면 운동에너지는 속도의 제곱만큼 증가한다. 즉, 속도가 증가할수록 속도를 증가 시키는데 더 많은 에너지 또는 파워가 필요하다. 그래서, 마력이 작은 차는 시내에서는 잘 모르지만 고속도로에서는 가속력이 떨어진다. 소형차로 150km까지 달릴 수도 있지만 150km까지 올리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 2017. 8.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