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78 아이오닉 (IONIQ) 현대 아이오닉 하이브리드의 연비는 22.4km이다. (아반떼가 13.7km이다.) 아반떼와 같은 1.6L 가솔린 엔진이지만 아반떼가 132마력인데 반해 아이오닉은 105마력이다. 하지만, 전기모터가 43.5마력이다. 모터는 32kW PMSM을 사용했다. 아이오닉 Electric은 완전 전기차로 모터는 119.7마력 (88kW) PMSM을 사용하고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했다. 배터리 전압은 360V이고, 용량은 78Ah이다. 한번 충전으로 191km를 갈 수 있다. 아오오닉 하이브리드는 가솔린 자동차와 달리 도심과 고속도로 연비가 22.5km, 22.2km로 비슷하고, 아이오닉 전기차는 6.9km/kWh, 5.8km/kWh로 오히려 도심에서 연비가 더 잘 나온다. 2017. 8. 29. Runtiime과 Runtime Library 이란? 프로그램 개발 중 Compile Time, Link Time, Load Time, Run Time 등의 말을 사용한다. Compile Time은 소스를 컴파일 중일 때이고, Link Time은 컴파일된 파일을 링크할 때이고, Load Time은 링크된 파일을 CPU에 로딩할 때이다. Run Time ( 또는 Runtime)은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때이다. 소스의 에러는 Compile, Link Time 중 발견되고, 버그는 Run Time 중 발견된다. try와 같은 Exception은 Run Time 중 발생하는 버그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Runtime Library는 Runtime 중에 실행 파일에 연결되어 실행되는 라이브러리이다. Dynamic Library라고도 한다. 이에 반해 Stat.. 2017. 8. 29. 인버터 (Inverter)란 무엇인가? 전력전자 공학에서 인버터(Inverter)는 DC를 AC로 변환하는 전력변환 장치를 의미한다. 컨버터 (Converter)는 AC를 DC로 변환하는 전력변환 장치이다. 가장 간단한 컨버터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버터라고 하면 유도모터 제어에 사용되는 인버터를 이야기 한다. 유도모터 제어에 사용되는 인버터의 내부에는 외부의 AC 전원을 DC로 변환하고 다시 DC를 AC로 변환하여 유도모터로 출력한다. 이 때 출력되는 AC는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와 같이 유도모터 인버터에는 컨버터와 인버터가 모두 내장 되어 있지만, 보통 그냥 인버터라고 부른다. 인버터는 보통 속도제어까지만 하고 위치제어를 하지는 않는다. 인버터는 서보 드라이브와 같이 정밀한 제어에 사용되지 않고 중대형 펌프, 팬.. 2017. 8. 28.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IntelliJ IDEA와 Gradle이란? IntelliJ IDEA는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의 이름이다. IDE는 통합 개발 환경으로 일반적으로 코드 에디터와 자동 빌딩과 디버거로 구성된다. 자바용 IDE에 IntelliJ IDEA외에 Eclipse 등이 있다. Gradle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이름이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IntelliJ IDEA에 기반하여 만들어 졌고, 컴파일러는 오라클의 Java 컴파일러를 사용하고, 빌딩은 Gradle로 한다. IntelliJ IDEA는 2010년에 Infowrold 잡지에서 시행한 조사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2017. 8. 28. 서태지 25주년 리메이크 MV 서태지 25주년 리메이크 MV방탄소년단의 Come Back Home이 가장 좋은 것 같다. Come Back Home - 방탄소년단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 헤이즈 (Heize) Take Five - 윤하 이제는 - 에디킴 Moai - 어반자카파 인터넷 전쟁 - Loopy & nafla 슬픈 아픔 - 수란 2017. 8. 28. 정격전류, 정격전압, 정격전력의 이해 모든 전기 제품에는 정격전류, 정격전압, 정격전력 중 최소 하나가 표시되어 있다. 정격은 안전을 보장하는 값을 나타낸다. 위의 휴대폰 충전기의 정격입력이 의미하는 것은 AC100~240V, 50~60Hz의 전압, 주파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제조사도 어떻게 될 지 모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격전류는 0.3A 이하만 입력되면 된다. 보통, 정격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입력되면 제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제품이 휴대폰 충전기라면 충전 전압이 낮아져 충전이 잘 안될 수 있다. 정격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입력되면 제품 내부 부품이 손상될 수 있다. 정격 주파수를 벗어나도 제품이 고장날 수 있다. 정격출력이 의미하는 것은 정격입력이 들어 왔을 때 정격전압 DC 5.0V의 출력이 나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격전류 .. 2017. 8. 28. 여러 파형의 RMS 값 사인파, 삼각파, 구형파, 펄스파의 RMS(Root Mean Square) 값은 다음 그림과 같다. 펄스파는 PWM 파형이고 듀티 D가 1일 때는 DC 파형이 되고, 이 때 RMS는 A가 된다. RMS의 의미 2017. 8. 28.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실효값(RMS)으로 동작할까?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전압과 전류를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로 입력 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신호 처리하여 동작한다. 대부분의 디지털 계전기는 DFT 필터를 통해 60Hz 기본파를 추출한 후 그 신호를 이용하여 각종 계전 동작을 한다. 기본파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보호계전기에서 사용하는 전압과 전류는 RMS이기는 하지만 True RMS는 아니다. 디지털 보호계전기에서 기본파만을 사용하는 이유는 전력계통에서 고장 또는 정상 상태일 때 발생하는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 True RMS란? 2017. 8. 28. 정관 산단로 2017. 8. 27. 이전 1 ··· 90 91 92 93 94 95 96 ··· 16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