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자공학/전자회로108

레귤레이터 전압 많이 사용하는 Linear Regulator 78 시리즈의 최대 입력 전압은 35V이다. Linear Regulator LM317은 최대 출력전압 37V, 입력-출력 전압차 40V이다. Switching Regulator MC33063/MC34063은 최대 입력 전압이 40V이다. LM5008은 최대 입력 전압이 100V이지만 최대 출력 전류가 약 300mA 정도로 낮다. LM5008은 PWM 방식이 아닌 Hysteretic Control 방식을 사용한다. 100V 이상의 입력 전압, 1A 이상 출력의 Switching Regulator는 많이 비싸다. 2017. 5. 11.
승압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Boost 회로 원리 Boost 회로는 Step-up regulator에서 사용되며 전압을 승압 시킬 수 있다. 아래 회로에서 트랜지스터 Q는 몇 십 Hz에서 몇 백 Hz까지의 펄스로 On/Off 된다. Q가 On될 때는 전류는 L-Q로 흐르고 D로는 흐르지 않는다. 이 때 Q를 Off 시키면 인덕터 L을 전류를 계속 흘릴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인덕터에 저장된 전류가 Q로는 흐르지 못하고 D를 통해 C로 흐른다. 이 때 인덕터는 전류 소스로 동작하고 C에 전하를 충전하면서 전압을 상승 시킨다. L에 저장된 전류가 소모될 때 쯤 다시 Q를 On 시켜 L에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일정 시간 후 다시 Q를 Off 시키면 다시 D로 전류가 흘려 C의 전압을 상승시킨다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아 Q를 On/Off 시키는 Duty를 변화 .. 2017. 5. 5.
LM317를 이용한 정전류 회로 LM317은 Linear Regulator지만 정전류 회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아래 회로에서 저항 R1에 걸리는 전압이 1.25V가 되도록 LM317의 출력이 조정되어 1.25V / 1.2ohm의 정전류가 출력된다. LM317은 Linear Regulator이기 때문에 정전류 출력 중 LM317에서 손실 전력이 크고 발열이 있다. (정전류 회로) Linear Regulator는 내부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미터 전압을 조절하여 정전류를 제어한다. 그래서, 콜렉터-에미터 전압과 정전류의 곱 만큼의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LED 구동을 위한 정전류 회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아래 사진에서는 3.3옴을 사용하여 0.38A 정전류를 사용한다. 2017. 5. 5.
릴레이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것 릴레이는 원리가 간단하고 1차와 2차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많이 사용한다. 릴레이를 사용할 때 다이오드를 달아야 하고 1차와 2차를 이격시켜야 하는 등의 설계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있다. 하지만, 릴레이를 사용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은 릴레이 ON / OFF 할 때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이다. 이 노이즈는 유도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도 있지만 릴레이 접점이 채터링하면서 발생하는 노이즈도 있다. 110V나 220V을 사용할 때는 생각보다 훨씬 많은 노이즈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으면 디지탈 회로에 노이즈가 유도되어 리셋되어 버릴 수 있다. 릴레이 1차단에 스너버 회로를 달아야 하고 릴레이도 좋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그래도 안된다면 TRIAC 등의 반도체 소자로 변경해야.. 2017. 4. 30.
Op amp 회로 설계시 주의해야 할 것 Op-amp(연산 증폭기) 회로를 설계할 때 간과하기 쉬운 것은 일반적인 Op amp의 출력 전압은 전원의 전압보다 작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5V, 0V 전원을 인가하면 Op-amp 출력은 +1.5 ~+3.5V가 최대가 되는 Op-amp도 있다. 그 범위를 벗어나면 원하는 출력값이 나오지 않는다. Op-amp에 따라 ground 쪽에서 +0.1V까지 출력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Rail to Rail Op amp는 전원 양단까지 출력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Op-amp를 설계할 때는 Op-amp의 데이트시트를 꼼꼼히 체크해야 한다. ☞ Op-Amp 사용하지 않는 핀 처리 2017. 4. 23.
전자 회로 설계할 때 까다로운 것 전자 회로를 설계할 때 MCU나 Op-amp 등과 같은 회로는 복잡하지만 회로의 핵심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자료가 있고 설계자도 그곳에 집중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쉽게 설계할 수 있다. 하지만 스위치, 커넥터, 전선 등과 같은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들은 자료도 별로 없고 적당한 부품을 선정하는 것이 조금 까다롭다. 그래서, 별 것 아닌 것 같은데 부품 찾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2017. 4. 22.
ESP8266 사용법 아래 사진의 PCB의 QFP IC가 ESP8266이다 ESP8266은 Espressif라는 중국업체에서 만든 Wi-Fi와 TCP/IP를 내장한 칩이다. 다른 Wi-Fi 칩들이 많지만 ESP8266의 가장 큰 특징은 몇 천원 정도로 매우 싸다는 것이다. 2014년에 AI-Thinker라는 업체에서 ESP-01이라는 ESP8266 칩을 내장한 Wi-Fi 모듈을 만들었다. ESP-01은 3~4천원 정도에 판매된다. ESP8266은 32비트 80MHz CPU에 64KiB Instruction RAM, 96KiB Data RAM에 513KiB~4MKiB의 플래시 메모리와 IEEE 802.11 b/g/n Wi-Fi와 기타 GPIO, SPI, I2C, UART, ADC 등이 내장된 MCU이다. ESP-01 Wi-Fi.. 2016. 6. 29.
저항의 J급, F급이 의미하는 것 전자회로의 저항은 정밀도에 따라 J급, F급 등이 있다. J급은 5%, K급은 1%의 정밀도를 가진다. 흔히 J급이나 K급을 정밀도라고 말하지만 정확하게는 허용 오차(Tolerance)를 말한다. Tolerance는 저항에 표기된 저항값과 실제 저항값의 오차를 말한다. 즉, J급으로 만들어진 저항이 백개가 있다면 백개의 저항값이 모두 표기된 저항값과 5% 이내의 차이를 보이고 F급으로 생산된 저항은 모든 저항이 1% 이내의 차이를 가진다는 말이다. 만약, J급 저항 중에서 1% 오차를 가지는 저항만을 골라낸다면 그 저항은 F급과 같은 저항이 된다. 온도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는 J급 또는 F급과는 상관없다. 일반적인 저항의 온도에 따른 저항값 변화는 보통 100 ppm/˚C의 값을 가진다. 2016. 5. 17.
TRIAC의 기초적인 동작원리 TRIAC(트라이악)은 SCR 2개를 연결하여 양방향 스위칭을 하는 부품이다. TRIAC은 AC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DC는 제어할 수 없다. 트랜지스터에 비해 더 높은 고전압을 쉽고 저렴하게 제어할 수 있다. MT1과 Gate 사이에 몇 십 mA 정도의 작은 전류가 한번 들어가거나 나오면 MT1과 MT2 사이가 ON이 되고, 그 상태에서 Gate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도 ON을 계속 유지한다. TRIAC이 ON 되어 MT에 전류가 흐른 후 MT 전류가 작아져 0이 되면 TRIAC는 OFF가 된다. 즉, AC 전압이 MT 사이에 걸려 있을 때 Gate에 1개의 짧은 펄스를 인가하면 AC 전압의 반주기 이하 동안만 TRIAC이 ON 된다. MT2와 Gate 사이에 몇 백옴의 저항을 연결하면 TR.. 2016. 4.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