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78 비포장 도로를 달린 후 점검해야 할 것 1. 차체 하부의 손상 2. 누유와 누수 3. 휠 얼라이먼트와 타이어 공기압 4. 연결 볼트와 완충 고무 2017. 11. 20. PCB 거버 파일 거버 (Gerber) 파일은 PCB 제작에 사용된다. 아트웍 캐드 프로그램에서 아트웍을 하고 마지막에 거버 파일을 만든 후 거버 파일을 PCB 업체에 넘기면 PCB 업체에서 PCB를 만들어 준다. 거버 포맷은 조셉 거버에 의해 만들어 졌다. 거버 파일은 텍스트로 된 벡터 이미지 파일과 드릴 좌표 데이터 파일로 구성된다. 라우팅 패턴, 솔더 마스크, 실크 등의 거버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고 NC 드릴 파일은 드릴 좌표 파일이다. 모두 텍스트로 된 파일이고 텍스터 에디터로 볼 수 있다. 거버 파일은 1980년대 Gerber Scientific 사의 Joseph Gerber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 거버 포맷은 Ucamco 사에 의해 현재도 계속 업그레이드 되고 있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포맷은 RS-27.. 2017. 11. 20. 전류제한 기능이 있는 DC 모터 드라이브 IC TI, ST Microelectronics 등에서 모터 드라이브 IC를 만든다. 차량용으로 사용하는 Infineon의 TLE8209-2SA은 SPI으로 제한 전류을 1.5A, 4.0A, 6.6A, 8.6A으로 설정할 수 있다. 2017. 11. 19. 파워포인트에서 그리스 문자 입력하기 한글로 'ㅎ'을 입력하고 한자키를 누르면 다음 그림과 같이 나오고, 그리스 문자를 선택한다. 2017. 11. 19. 전원 스위치에 적혀 있는 기호의 의미 대부분의 전원 스위치에는 다음 그림과 같은 기호가 표시가 되어 있다. 스위치에 표시된 기호는 O과 | 이다. O은 스위치를 끄는 것이고 | 은 스위치를 켜는 것이다. 오른쪽 그림은 O과 | 을 합쳐 놓은 기호로 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켜고 한번 더 누르면 끄는 스위치이다. O과 | 은 1973년 IEC 60417에 표준화된 기호로 숫자 0과 1이 아니라 원과 직선의 도형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진수 0과 1로 OFF와 ON을 생각하면 기억하기 쉽다. 2004년 IEEE 1621에서 전원 심볼을 재정의 하였다. 2017. 11. 19. 파워포인트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부호( +- ) 입력하기 한글로 'ㄷ'을 입력하고 한자키를 누르면 다음 그림과 같이 나오고, ±을 선택한다. 2017. 11. 19. 자동차 타이어 집에서 공기 직접 넣는 법 타이어 공기압이 떨어지면 TPMS에서 경고등이 켜진다. 타이어에 공기를 넣기 위해서 정비소나 주유소에 갈 수도 있지만 본인이 직접 넣을 수도 있다. 쇼핑몰에서 5만원 정도하는 에어컴프레셔를 사용하여 타이어에 공기를 넣을 수 있다. 에어컴프레셔를 따로 사지 않아도 최근에 나오는 자동차는 스페어 타이어 대신 리페어킷이 있다. 리페어킷은 에어컴프레셔와 실런트로 구성되고, 리페어킷의 에어컴프레셔로 타이어에 공기를 넣을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리페어킷으로 타이어에 공기를 넣는다. 1. 에어컴프레셔는 에어펌프와 압력계로 구성된다. 2. 시거잭에 에어컴프레셔를 연결한다. 3. 타이어에 에어컴프레셔를 연결한다. 타이어 공기 주입구에 연결하고 나사를 돌려 결합한다. 4. 압력계를 보면서 에어컴프레셔의 스위치를 켜.. 2017. 11. 18. 타이어 리페어 킷의 제원 최근 자동차는 스페어 타이어 대신 타이어 리페어 킷이 있는 경우가 많다. 리페어 킷은 공기 압축기와 실런트(봉합제)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어 타이어 대신 리페어킷을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조사 입장에서는 원가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기 압축기는 시거잭에 연결하여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한다. 현대차의 리페어 킷 공기 압축기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정격 전압 : DC 12V 동작 전압 : DC 10~15V 최대 전류 : 15A 최대 공기 압력 : 6 bar (87 psi) (대기압의 약 6배) 2017. 11. 16. 타이어 교체는 언제 해야 할까? 타이어 교체 주기는 전문가마다 다 다르다. 어떤 사람은 4년 또는 5만km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3년 또는 3~4km라고도 한다. 타이어 교체 시기는 운전 조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타이어 상태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타이어가 많이 닳았으면 시기에 관계없이 교체해야 한다. 타이어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6년이 지나면 스스로 노화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5년이 지난 타이어는 무조건 교체하고 그 전에 타이어가 많이 닳았으면 그때그때 교체하는 것이 좋다. 타이어가 많이 닳았다는 것은 타이어의 홈 깊이를 보면 된다. 홈의 깊이가 1~2mm 정도이면 교환해야 한다. 2017. 11. 16.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16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