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78

혼자서 브레이크 등 확인하는 방법 접이식 우산을 사진과 같이 브레이크와 시트 사이에 걸고 브레이크 등을 확인하면 된다. 우산을 펴는 버턴을 눌려 우산이 펴지려는 스프링 힘으로 브레이크를 밟는다. 2017. 11. 5.
IP (방수방진) 등급 정리 IP 등급(International Protection Marking, Ingress Protection Marking)은 사람의 손이나 손가락, 먼지, 물 등에 대한 접촉에 대한 보호 등급을 말한다. IP 등급은 IEC60529에 표준화 되어 있다. 흔히 방수방진 등급이라고 한다. IP65에서 앞의 숫자 6은 먼지 등의 고체에 대한 보호 등급을 의미하고 뒤의 숫자 5는 물과 같은 액체에 대한 보호 등급을 의미한다. 삼성 갤럭시 S7은 IP68이다. ◎ 고체 보호 등급0 : 고체에 대한 보호가 없음1 : 50mm 초과 물체, 손등과 같은 큰 물체2 : 12.5mm 초과 물체, 손가락 등3 : 2.5mm 초과 물체, 공구, 굵은 전선4 : 1mm 초과, 대부분의 전선, 나사5 : 먼지, 모든 먼지를 완전히.. 2017. 11. 5.
과급기 (Charger)란 무엇인가? 과급기 (Charger, 차저)는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를 압축하는 장치이다. 압축된 공기를 엔진 실린더로 주입해 주면 출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동일한 배기량의 엔진에 과급기를 달면 엔진 마력이 향상된다. 현대 아반떼 AD의 가솔린 1.6 모델의 출력은 132마력이지만 1.6 터보 모델은 204마력이다. 과급을 위해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엔진 축에 공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방식을 슈퍼차저(Supercharger)라고 하고 배기 가스의 압력을 공기 압축을 이용할 때를 터보차저(Turbocharger)라고 한다. 슈퍼차저나 터보차저는 공기 압축기가 엔진에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압축기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가 없고 터보 랙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터보 랙(Turbo La.. 2017. 11. 4.
앞바퀴 뒷바퀴 타이어 중 어느 것을 먼저 갈아야 할까? 자동차의 앞바퀴 타이어가 뒷바퀴 타이어보다 더 빨리 닳는다. 앞바퀴는 조향을 하고 전륜구동 자동차는 앞쪽에 무게 중심이 있고 앞바퀴로 구동을 하기 때문에 앞바퀴 타이어가 더 빨리 닳는다. 타이어 교환을 위해 앞바퀴 타이어를 버리고 새 타이어 2개를 산다면 어떻게 교환해야 할까? 쉽게 생각하면 앞바퀴에 새 타이어를 달면 될 것 같지만, 새 타이어를 뒷바퀴에 달고 사용하던 뒷바퀴 타이어를 앞바퀴에 달아야 한다. 뒷바퀴가 오래되면 접지력이 약해지고 오버스티어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오버스티어는 뒷바퀴가 앞으로 나가려 하면서 차가 도는 현상이다. 오버스티어는 일반 운전자가 제어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사고가 나기 쉽다. 피쉬테일은 뒷바퀴 접지력이 약해 발생하는 오버스티어의 일종이다. 앞바퀴의 접지력이 약해지면 언.. 2017. 11. 3.
자동차 산업이 중요한 이유 보통 사람들이 평생을 살면서 구매하는 상품 중에서 가장 비싼 것은 무엇일까? 가장 비싼 것은 집이고 그 다음 비싼 것은 자동차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돈은 자동차 자체 뿐만 아니라 자동차 보험, 기름, 정비 등도 포함된다. 사람들이 자동차에 많은 돈을 쓴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자동차 산업이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2012년 기준 전체 고용의 약 11%가 자동차 산업에서 발생했다. 자동차 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경제 위기로 소비가 감소할 때 정부에서는 자동차 세금 인하나 보조금 등의 정책을 펼친다. 시장 경제 원칙을 중시하는 미국에서도 2008년 금융 위기일 때 GM, 크라이슬러 등의 미국 자동차 회사의 파산을 막기 위해 미국 정부가 개입하였다. .. 2017. 11. 3.
자동차 언더스티어와 오버스티어의 차이 언더스티어(Understeer)는 코너링 중 자동차가 운전자의 핸들 조작보다 더 작게 코너링 되는 현상이다. 자동차 앞바퀴의 접지력을 잃으면 원하는 회전 반경보다 더 큰 코너를 돌게 된다. (아래 그림의 왼쪽) 오버스티어(Oversteer)는 코너링 중 자동차가 운전자의 핸들 조작보다 더 크게 코너링 되는 현상이다. 뒷바퀴의 접지력을 잃으면 차의 뒷부분이 앞으로 나가려하고 차가 회전하게 된다. (아래 그림의 오른쪽) 언더스티어 중에는 엑셀을 조금씩 풀어 속도를 줄이면 된다. 속도가 줄면서 앞바퀴 접지력이 회복된다. 언더스티어 중 브레이크를 급하게 밟으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오버스티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등의 커브에 너무 빠른 속도로 진입하면 언더스티어가 .. 2017. 11. 3.
자동차 공조 시스템의 구조 자동차 공조 시스템의 구조는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에서 플랩(Flap, 그림의 갈색)이 동작하여 외기/내기와 풍향과 냉난방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 혼합 플랩은 냉기와 온기를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베퍼레이터는 에어컨에 연결되어 공기 온도를 낮추고 히터는 냉각수와 연결되어 공기 온도를 높인다. 에어컨 필터(에어 필터)는 블로우 팬과 외기 또는 내기 입구 사이에 있다. (에어컨 필터 교환하는 방법) 외기로 선택하면 블로우 팬이 돌지 않아도 자동차가 주행하면 외기가 실내로 들어온다. 2017. 11. 2.
에코델타시티 공사현장 2017년 11월 2일 2017. 11. 2.
자동차 시동키 LOCK, ACC, ON, START의 동작 버턴 방식이 아닌 키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키홀에 적혀있는 LOCK, ACC, ON, START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LOCK 시동이 꺼지고 핸들이 잠김 ACC (Accessory) 오디오 등의 일부 전기장치 켜짐 ON 모든 전기장치 켜짐 모든 경고등 켜짐 START 엔진 시동 키에서 손을 놓으면 자동으로 ON 상태로 복귀 START 위치에 오래 두면 시동 모터가 고장날 수 있음 버턴 시동 방식 LOCK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버턴을 누르면 ACC로 전환된다. ACC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버턴을 누르면 ON로 전환된다. ON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버턴을 누르면 LOCK으로 전환된다. 즉,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버턴을 누름에 따라.. 2017. 10. 31.
반응형